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지도 어느덧 3년, 그동안 매달 성실하게 납입해오셨다면 슬슬 이런 생각이 드실 수 있어요. “이쯤에서 해지해도 괜찮지 않을까?” 또는 “지금이라면 꽤 모였는데, 중도 인출해볼까?”
오늘은 청년도약계좌 3년 해지를 고려하시는 분들을 위해, 해지 시의 불이익과 실제 수령 금액, 그리고 대안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.
3년 해지, 무조건 손해일까요?
많은 분들이 “이자도 붙고, 꽤 낸 것 같은데 이쯤이면 그만해도 되는 거 아냐?”라고 생각하십니다. 하지만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 유지를 전제로 정부기여금이 쌓이는 구조입니다.
즉, 3년을 채우고 해지하면 원금과 이자는 받을 수 있지만, 그동안 적립된 정부지원금은 전액 환수됩니다. 비과세 혜택도 사라져서 이자소득세(15.4%)가 부과됩니다.
결국 실제 수령액은 예상보다 적고, 생각보다 아쉬움이 크다는 후기가 많습니다.
3년 해지 실제 후기 요약
실제 사용자 후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흐름이 많습니다:
- 납입 원금 약 1,800만 원 + 이자 수십만 원
- 정부기여금 약 600~700만 원 환수됨
- 이자에서 세금 공제되어 15% 이상 차감
- 실수령액 약 1,900~2,000만 원 수준
즉, 기대보다 적은 금액만 돌려받게 되어, “이럴 줄 알았으면 그냥 계속 넣을 걸…”이라는 후기가 상당히 많습니다.
그렇다면 언제 해지하는 게 나을까요?
청년도약계좌는 중도 해지 시 손해가 크고, 재가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단순히 “이쯤에서 그만”이라고 생각하고 해지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습니다.
하지만 아래와 같은 상황이라면, 3년 해지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:
- 정부기여금이 많이 누적되지 않은 초반기 가입자
- 급전이 꼭 필요하지만 특별 해지 요건에는 해당되지 않는 경우
- 타 금융상품으로의 갈아타기를 명확히 계획한 경우
단, 이런 경우라도 부분 인출 제도</strong가 가능한지 먼저 확인해보시는 것이 현명합니다.
2025년 기준 부분 인출 제도란?
현재(2025년) 기준으로 청년도약계좌는 납입기간이 24개월 이상이고, 누적금액이 일정 이상일 경우 부분 인출이 허용됩니다. 이 경우 계좌는 유지되며, 비과세 혜택도 계속 유지됩니다.
즉, 필요한 자금만 꺼내 쓰고, 혜택은 유지하는 전략이 가능하다는 말이죠. 실제로 후기들을 보면, 부분 인출이 가능한 상황에서 해지를 선택해 손해 본 경우가 많았습니다.
마무리 조언
청년도약계좌 3년 해지, 선택은 신중하셔야 합니다. 중도 해지는 단순히 계좌를 닫는 것이 아니라, 몇 년 간의 혜택을 포기하는 결정입니다.정말 필요한 상황인지, 특별 해지 요건에는 해당하지 않는지, 부분 인출로 대체할 수는 없는지… 이런 점들을 꼼꼼히 따져보신 후 해지를 결정하시길 바랍니다. 지금 확인해보시면, 나중에 아쉽지 않은 판단을 하실 수 있을 거예요.